조회 수 31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희망버스에 가장 앞장 선 승객이었던 송경동 시인과 진보신당 정진우님에게 11월 19일 구속영장이 발부되었습니다.
'도주와 증거인멸'의 우려가 영장 발부의 이유라고 합니다.
사람 사는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이들이 사람들의 삶을 파괴하는 이 땅 어디로 도주한단 말입니까?
여기저기 죽어가는 사람들의 신음소리가 들리는데
그들을 살리고자 하는 이들이 도대체 무슨 증거를 인멸한단 말입니까?
우리 모두가 희망버스요, 우리 모두가 기획자이며, 우리 모두가 제안자입니다.
그러니 두 사람의 구속에 굴하지 않고 희망버스 승객 모두가 새로운 희망을 다시 만들어봅시다.
구속영장 발부로 사람들이 겁먹기를 바라겠지만 절대로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시다.  



[프레시안] 부산 구치소로 간 송경동을 위한 기도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11128095751

<기자회견문>
송경동․정진우의 구속으로 희망버스의 의지를 꺾을 수 없다.
희망의 버스는 더욱 넓고, 힘있게 달려갈 것이다.

18일 밤 희망버스의 앞선 승객이었던 송경동시인과 정진우 진보신당 비정규실장이 구속되었다. 희망의 버스 승객들은 경찰과 검찰, 법원의 구속영장 발부를 강력하게 규탄한다.
검찰은 구속영장에서, 희망버스 승객들이 ‘한진중공업 사태를 빌미로 개입한 제3의 외부세력’이라고 했다. 도대체 누가 외부세력이라는 말인가? 언론과 노동위원회와 정부와 경찰이 모두 회사의 편이 되어, 피땀 흘려 일하던 곳에서 버려진 노동자들을 향해 폭력을 행사할 때, 그 노동자들과 같은 처지일 수밖에 없는 수많은 소금꽃들이 연대했다. 노동자는 ‘연대’를 통해서 사람다움을 누린다. 우리는 외부세력이 아니라 같은 사람이고 같은 노동자이다.
또한 검찰은 구속영장에서, 희망버스가 ‘정리해고 박살과 비정규직 폐지’ 등 현행법상 인정될 수 없는 주장을 했다고 한다. 마구잡이 정리해고는 인정되고 그에 반대하는 투쟁은 현행법상 인정될 수 없다는 검찰의 논리야말로 가진 자들의 주장 아닌가. 비정규직이 되어 삶이 파괴되는 이들이 더 이상 비정규직은 안된다고 말하는 것이 현행법상 불법이라는데, 이런 논리야말로 사람을 무가치하게 만드는 비인간적 주장 아닌가. 법이 아닌 ‘인권’의 이름으로 우리는 외친다. 정리해고와 비정규직은 없어져야 한다고.
법원은 도주와 증거인멸이 두 사람의 구속사유라고 한다. 희망버스 승객들에게 ‘도주’란 정리해고로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현실을 외면하는 것이다. 그런데 ‘정리해고로 죽어가는 이들을 살리기 위해 연대하자’고 이야기하던 이들이 도대체 어디로 도주한단 말인가? 더 많은 이들이 이 연대의 행렬에 동참하자고 호소하던 이들이 도대체 무슨 증거를 인멸한다는 말인가? 희망버스는 정리해고와 비정규직이 만연한 현실에서 결코 도주하지 않으며 우리들의 연대와 희망의 행진을 더 자랑스럽게 이야기하고 더 많은 이들이 동참하기를 호소할 것이다.
송경동 시인과 정진우 진보신당 비정규실장을 구속함으로써, 희망버스 승객들이 두려워하고 희망버스가 사그라들기를 바란 것이라면 정부는 대단한 오판을 한 것이다. 재벌의 이윤을 위해 모든 이들이 희생되는 사회에서 이제야말로 노동의 가치를 다시 세우자고 모인 희망버스 승객들은 아무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오히려 재벌과 정부가 얼마나 우리를 두려워하는지, 우리 연대의 힘이 얼마나 큰지 우리는 알고 있다. 두 사람의 구속은 희망의 버스가 더 큰 힘을 갖고 더 많은 곳으로 달려갈 수 있도록 우리의 의지를 더 북돋운다. 이제 다시 희망의 버스가 간다. 두려워하지 않고 거침 없이 간다.

2011년 11월 19일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위한 희망의 버스 승객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108 [후원회] 5.18기념재단과 협약서 체결 file 2011.03.07 3609 양심수후원회
107 [후원회] 5.18재단 '2012 국내시민사회연대 지원'공모 선정 file 2012.03.13 1748 양심수후원회
106 [후원회] 5.18재단과 협약식을 진행했습니다. file 2012.03.19 2076 양심수후원회
105 [후원회] 5.24조치 발표 2년, 이명박 정부 규탄 기자회견 file 2012.05.25 3466 양심수후원회
104 [후원회] 5월 월례강좌 진행했습니다. file 2013.05.27 3041 양심수후원회
103 [후원회] 5월 월례강좌-'김정은 시대'에 대한 이해 file 2012.05.21 3270 양심수후원회
102 [후원회] 6월 월례강좌 진행했습니다. file 2013.06.24 2107 양심수후원회
101 [후원회] 7월 월례강좌 진행했습니다. file 2013.07.22 1939 양심수후원회
100 [후원회] 8.15대회 준비를 위한 기획글-진보연대 file 2012.08.06 1971 양심수후원회
99 [후원회] 8월 월례강좌-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 file 2012.08.13 2268 양심수후원회
98 [후원회] 8월 월례강좌-박정희 대통령기념도서관 방문 file 2012.08.27 2192 양심수후원회
97 [후원회] 9월 월례강좌 진행했습니다. file 2013.10.16 1764 양심수후원회
96 [후원회]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양심의 자유 침해 교정 당국 규탄 기자회견 file 2012.07.19 1910 양심수후원회
95 [후원회] 가을 역사기행-원주 file 2012.11.05 2439 양심수후원회
94 [후원회] 가을 역사기행-충주 file 2012.11.05 2106 양심수후원회
93 [후원회] 감옥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인권·사회 단체 기자회견 file 2011.10.25 2837 양심수후원회
92 [후원회] 감옥인권실태보고서 및 구금시설 교정관련 법규집 발간 file 2012.11.29 2080 양심수후원회
91 [후원회] 공안탄압 반대, 8·15 양심수 석방 촉구 인권사회단체 기자회견 file 2012.08.02 1979 양심수후원회
90 [후원회] 교정시설 인권침해 규탄 및 양심수 집단소송 관련 기자회견 file 2011.05.12 2294 양심수후원회
89 [후원회] 국가보안법 관련 구속 양심수 면회 2011.11.14 3264 양심수후원회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Next
/ 36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