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기획강좌>대학, 대학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인권연대 2010.05.12 16:45 조회 수 : 1633

안녕하세요 인권연대입니다.
저희가 이번에 대학에 관한 기획강좌를 마련했습니다.

우리사회 대학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공부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기획 강좌] 대학, 대학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대학, 대학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5천만 인구 중에서 무려 3백만 명이 대학생으로 살고 있고 대학 진학률은 90%에 가깝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대학이 이토록 큰 비중을 차지한 적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대학은 이미 지성의 전당, 학문의 전당으로서의 면모를 상실하였습니다. 대학은 구조적으로 사람을 차별하는 서열화를 고착화시키는 한편, 학생들은 스펙 쌓기에만 내몰리고 있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대학이 차지하는 비중만큼이나, 대학으로 인한 폐해 때문에 받는 고통도 적지 않습니다. 더 이상 고통을 외면할 수도 없고, 더 이상 무모한 자기 파괴행위를 반복할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인권연대에서는 “대학, 대학은 우리에게 무엇인가”라는 강좌를 마련하여 대학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바랍니다.

○ 일시: 2010년 5월 24일(월)부터 6월 21일(월)까지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30분 ~ 9시 30분
○ 장소: 
만해 NGO 교육센터 약도 클릭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 2번 출구 도보로 약 2분 거리)

○ 주최: 인권연대 교육센터
모집인원:
수강신청은 선착순으로 마감합니다.
수강료: 전체 강좌 40,000원
             (단체활동가 및 인권연대 CMS회원, 학생 20%할인)
입금:
우리은행 1005-801-523022 (예금주: 인권연대)
문의: (전화) 02-749-9004/
hrights@chol.com www.hrights.or.kr


프로그램

일  자

강     의

강  사

5/24(월)

한국의 대학을 고발한다.

홍세화/ 한겨레 기획위원

5/31(월)

대학, 이렇게 바꾸자

김동애/ 대학강사 교원지위 회복과 대학교육 정상화 투쟁본부 본부장

6/7(월)

우리에게 대학은 무엇인가

이찬수/ 종교문화연구원 원장

6/14(월)

대학, 꼭 가야 하나?

김규항/ 고래가 그랬어 발행인

6/21(월)

대학에서의 배움

고병권/ 수유+너머 연구원

 - 온라인 수강 신청하기 ☜ 클릭

<강사 소개>

홍세화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귀국했다. 현재 한겨레신문사 기획위원, ‘학벌없는 사회’ 공동대표, 월간 ‘작은책’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공저) ‘생각의 좌표’ 등이 있다. 

김동애
‘대학 강사 교원지위 회복과 대학교육 정상화 투쟁본부’의 본부장을 맡고 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국회 앞에서 강사의 교원 신분 회복을 위한 고등교육법 개정안의 국회 의결을 촉구하며 텐트 농성을 하고 있다. 저서로 ‘지식사회 대학을 말한다’, ‘비정규 교수, 벼랑 끝 32년’(공저)등이 있다.  

이찬수
7년 동안 재직한 강남대에서 부당하게 해직되고, 현재 서강대, 이화여대, 한신대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불교와 그리스도교 등 세계 종교의 정수를 파헤치고 있으며, 저서로 ‘불교와 그리스도교, 깊이에서 만나다’, ‘생각나야 생각하지’, ‘종교로 세계 읽기’, ‘인간은 신의 암호’(역서), ‘리영희 프리즘’(공저) 등이 있다.

김규항
어린이 인문잡지 ‘고래가 그랬어’ 발행인. 아이들과 이야기하기, 자전거 타기, 타악기 연주를 좋아한다. 2010년 3월 ‘한겨레21’이 정치인과 사회인사 5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가장 좌파적이면서 동시에 개인의 자유에 대한 신념이 가장 높은 사람으로 나타난 바 있다. 저서로 ‘B급 좌파’, ‘나는 왜 불온한가’, ‘예수전’ 등이 있다.

고병권
연구공간 ‘수유+너머’의 공동대표로 활동하며 정치, 철학,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비판적인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이다. 저서로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니체, 천 개의 눈 천 개의 길’,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역서), ‘한 권으로 읽는 니체’(역서), ‘리영희 프리즘’(공저) 등이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7 12/6 삼성경비 폭행 사주 혐의 이건희 고소 기자회견 삼성일반노조 2012.12.06 3446
186 12/5반삼성유럽순회투쟁 ! CGT 세제떼 프랑스노총 중앙활동가들과의 간담회! 삼성일반노조 2016.12.11 649
185 12/5 생명평화행진- 폭설을 뚫고 삼성본관앞 김소연선대본과 함께, 삼성일반노조 2012.12.05 1127
184 12/4 삼성재벌 규탄집회! 이재용은 감옥으로 주한미군는 미국으로,,, 삼성일반노조 2019.12.05 104
183 12/4 삼성이건희 고소사건, 중앙지검 934호 검사실 진술 삼성일반노조 2012.12.05 1859
182 12/31, 24시간 삼성규탄 집회 19일차ㅡ 조개찜과 이건희 삼성일반노조 2013.01.01 1190
181 12/30 삼성본관 규탄집회! 삼성사원도 노동자다, 민주노조 건설하자! 삼성일반노조 2015.12.31 713
180 12/3 프랑스 첫날 삼성재벌 규탄 집회! 스탈린그라드광장에서! 삼성일반노조 2016.12.04 634
179 12/3 삼성본관정문 앞 노숙농성 79일차! 간밤 비바람에 무너진 백혈병유족 비닐농성장 소식! 삼성일반노조 2015.12.03 707
178 12/29 삼성규탄집회 17일차- 진눈깨비 날리는 날 삼성일반노조 2012.12.30 1175
177 12/28, 16일차 삼성규탄 집회 ㅡ 유족을 고소하는 삼성족벌 삼성일반노조 2012.12.29 1103
176 12/27 삼성규탄 집회 15일차- 외로운 투쟁!!! 삼성일반노조 2012.12.27 1087
175 12/26 삼성규탄 24시간 집회 14일차- 이 시대의 양심 삼성일반노조 2012.12.26 1127
174 12/25 귀태기업 삼성재벌 규탄성명서 삼성일반노조 2019.12.25 52
173 12/24 삼성규탄 24시간 집회 12일차ㅡ과메기와 보약 삼성일반노조 2012.12.25 1122
172 12/22 삼성본관앞 24시간 삼성규탄 집회 10일차-침묵 삼성일반노조 2012.12.23 1068
171 12/21 삼성규탄 9일차 삼성본관 집회ㅡ 건희산성이 무너지다. 삼성일반노조 2012.12.21 1194
170 12/20 삼성규탄집회, 삼성족벌 대를 이은 재벌총수 막장경영 끝장내자! 삼성일반노조 2017.12.21 226
169 12/20 삼성규탄 24시간 집회 8일차- 서울 충남 경남 삼성일반노조 2012.12.21 1308
168 12/19 삼성규탄 24시간 집회 7일차-반장선거 삼성일반노조 2012.12.20 1131
자유게시판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