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신념의 쪽배로 분단을 건너 온 수학자, 안재구 선생

1.jpg

자주시보 김영란 기자


남민전 사건과 구국전위 사건으로 두 번이나 무기징역을 선고받으며 한 생을 민족의 통일을 위해 헌신해 온 안재구 선생의 쾌유를 빌며 87세 생신을 축하하는 모임이 19일 12시 천도교 수운회관에서 열렸다. 


안재구 선생은 1933년생으로 2020년에 미수 축하모임을 하려 했으나 안재구 선생이 몸이 안 좋은 관계로 올해 87세 생신축하 모임을 하게 된 것이다.


생신축하 모임에는 이상규 민중당 상임대표와 당원들, 이규재 범민련 남측본부 의장과 회원들 조순덕 민가협 상임의장과 회원들,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이사장 및 회원들, 권낙기, 임방규 통일광장 공동대표와 회원들, 615 학술본부 회원들, 사월혁명회 회원들 그리고 남민전, 구국전위에서 함께 활동한 동지들과 안재구 선생의 가족들을 비롯해 150여 명의 사람이 참가했다.


생신축하 모임에는 안재구 선생의 약력 소개와 삶을 담은 영상이 상영되었다. 


이어 각계의 축사가 이어졌다.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이사장은 “안재구 선생의 끝나지 않은 길은 지금도 계속될 것이며 이어질 것이다. 안재구 선생이 지금 건강이 완벽하지 않지만, 반드시 극복될 것이라 믿는다. 선생의 온 생애는 자주통일 운동의 역사로 지금까지 일관되게 이어지고 있다. 우리 민족의 자주통일과 평화번영을 꿈꾸었고 이것이 선생의 유일한 삶의 목표였고, 아직 끝나지 않은 역사의 과정이다. 앞으로도 이 정신이 이어질 것이라 믿는다. 안재구 선생이 반드시 지병을 털고 일어나 통일된 그 날을 함께 맞이하는 날을 기다리겠다”라며 축사를 했다.


조순덕 민가협 상임의장은 “민가협 어머니들은 집회, 기자회견 어떤 행사장에서도 안재구 선생과 함께 했다. 안재구 선생은 사람은 늘 공부를 해야 한다며 책을 주었다. 장수향(안재구 선생의 부인, 별세) 선생은 언제나 민가협의 어머니들과 함께 하며 어머니를 위로해주었다. 안재구 선생이 끝까지 사랑하는 가족들, 귀한 동지들 마음에서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라며 축사를 했다.


김한성 615 학술본부 대표는 “615 학술본부는 학자나 교수들이 지행합일, 즉 배웠으면 실천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배움은 실천에서 완성되는데 이를 못 하는 학자, 교수들이 많다. 그런데 안재구 선생은 지행합일의 표본이다. 또한 안재구 선생은 학문만 한 것이 아니라 민족 통일운동에 헌신해왔다. 안재구 선생은 학식과 인품을 두루 갖춘 사람이다. 옛말에 글을 가르치는 선생은 쉽게 구하지만 사람 됨됨이를 가르치는 선생은 구하기가 어렵다는 말이 있다. 안재구 선생은 글을 가르치는 선생이 아니라 사람 됨됨이를 가르치는 선생이다”라고 말을 했다.


또한 김한성 대표는 안재구 선생을 위한 한시를 써와 낭독했다.


“밀양의 정기가 현인을 낳으니

수학의 명성이 세상을 놀라게 했다네
민족통일을 위해서 일생을 바치셨으니
후배는 충심으로 선생님께 한잔을 올립니다” 


이날 생신축하 모임에서 민중 가수 우위영 씨와 경기지역 청년들의 문예 공연이 있었다. 


우위영 씨는 노래 ‘철창 속의 봄’. ‘통일의 길’ ‘굽이치는 임진강’을 불렀는데, 특히 노래 ‘철창 속의 봄’과 ‘통일의 길’은 안재구 선생이 교도소에 있을 때 직접 만든 노래이다. 경기지역 청년들은 통일 노래 연곡에 맞춰 율동했다. 


이상규 민중당 상임대표는 “선생님 사랑합니다”라고 외치며 참가자 전체를 대표해 안재구 선생에게 축하 꽃다발을 드렸다.


안재구 선생 생신축하 모임은 전체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끝이 났다.


<안재구 선생 약력>


1933년 10월 24일. 대구에서 출생.

1947년 5월. 노동절 집회 참가로 중학교 퇴학. (밀양중학교 1학년)
1948년 2월. 2.7 구국투쟁에 참가 후 남로당 밀양군당 조직 연락원과 농민위원회 조직지도원으로 활동.
1949년 6월. 초등교원 채용 준교사 시험에 합격.
1949~51년. 대구 달성군 구지초등학교 교사.
1952년 3월.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과 입학.
1958년 3월. 경북대학교 문리대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1970년. 경북대에서 이학박사 학위 취득 후 경북대 문리대 수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역임
1976년 2월. 경북대에서 ‘국가관 미확립’이라는 이유와 학생운동에 동정적이라는 구실로 재임용 탈락.
1979년 10월. 남조선민족해방전선(남민전)으로 체포. 사형선고를 받았지만 세계 수학자들의 항의와 진정으로 2심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
1988년 12월. 가석방.
1991년. 경희대학교 교양학부 강사로 재직하면서 ‘현대사회와 과학’ 강의
1994년 6월 14일. 구국전위 사건으로 체포, 무기징역 선고
1999년 8월 15일. 형 집행정지로 석방


저서로 『우리가 함께 부르는 노래(광야, 1989)』 『철학의 세계 과학의 세계(죽산, 1990)』, 『수학문화사(일월서각,1990)』, 『할배, 왜놈 소는 조선 소랑 우는 것도 다른강(돌베개, 1996)』, 『아버지 당신은 산입니다(아름다운 사람들, 2003)』, 『끝나지 않은길 1, 2 (내일을 여는 책, 2013』 등이 있다. 


원문 : http://www.jajusibo.com/sub_read.html?uid=47611&section=sc52&section2=


2.jpg


3.jpg


4.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 신임회장 인사말 file anonymous 2017.03.22 659
» 신념의 쪽배로 분단을 건너 온 수학자, 안재구 선생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24 329
501 신년하례식 잘 끝났습니다. file anonymous 2017.01.16 657
500 시민평화단체, 한미정상회담 대응행동..'군사동맹, 군비경쟁 아닌 평화선택' file 양심수후원회 2022.05.29 137
499 시민사회, 구속적부심 앞둔 범민련 간부들 석방 촉구 양심수후원회 2009.06.05 4489
498 시민사회, “방위비분담금 협상 중단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03 181
497 시민사회 원로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석방하라" 양심수후원회 2021.09.10 131
496 시민단체들 `대진연 회원 구속 부당하다! 즉각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6.19 211
495 시민단체, 국회에서 ‘국가보안법 폐지촉구 토론회’ 개최 file 양심수후원회 2023.11.10 63
494 시민단체 "내정간섭 중단하고 해리스는 이 땅을 떠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23 11183
493 시민단체 "경찰의 무리한 압수수색 규탄"...면회 불허, 과잉대응 논란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23 168
492 슬픈 일-2차송환을 바라시던 류기진 선생님 타계 양심수후원회 2019.06.01 112
491 숨죽여 지내온 세월…'비전향 장기수' 19인의 초상 anonymous 2018.10.11 156
490 수요시위 “올바른 과거사 청산 없인 관계개선 없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22.10.12 105
489 수암 최백근 선생 60주기 추모식 열려 양심수후원회 2021.12.22 130
488 소위 ‘제주 간첩단’ 사건 관련자, 보석 석방 file 양심수후원회 2023.09.29 58
487 소위 ‘민주노총 간첩단’ 사건 3명, 보석석방 file 양심수후원회 2023.10.28 54
486 소위 '창원간첩단' 사건, 공평재판 부적정 재판부 기피신청서 접수 file 양심수후원회 2023.09.12 86
485 소수영회원에 대한 과잉수사 중단 촉구 기자회견 anonymous 2013.06.11 4186
484 세상과 철저히 격리된 ‘사회배출’ 북 종업원들 file anonymous 2016.11.03 535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34 Next
/ 34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