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빨치산 출신 2차송환 희망 김교영 선생 별세

  • 김치관 기자 
  •  
  •  입력 2021.09.18 19:48

 

2차 송환 희망자인 김교영 통일광장 회원(오른쪽)이 지난 8월 2일 별세했다. 2004년 5월 지리산 대성골에서 열린 남녘 애국통일열사 추모제에 참석한 김교영 선생이 항상 지니고 다닌다는 지리산 지도를 펼쳐들고 옛 동지들과포즈를 취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2차 송환 희망자인 김교영 통일광장 회원(오른쪽)이 지난 8월 2일 별세했다. 2004년 5월 지리산 대성골에서 열린 남녘 애국통일열사 추모제에 참석한 김교영 선생이 항상 지니고 다닌다는 지리산 지도를 펼쳐들고 옛 동지들과포즈를 취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빨치산 출신 김교영 통일광장 회원이 지난 8월 2일 노환으로 서울 자택에서 별세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코로나19가 한창이라 가족장으로 조용하게 치러진 것.

고인은 1927년 함남 영흥군(금야군)에서 출생 1946년 조선노동당에 가입했고, 한국전쟁 시기 지리산에 입산해 선전분야 등에서 활동했다. 1954년 1월 체포돼 10년 형을 살다 1961년 가석방됐다.

출소이후 노무자와 기술자로 생계에 주력하다 정년퇴직 후 1985년부터 비전향장기수 모임인 통일광장 성원으로 활동하며 2차 송환을 기다려왔다. 지리산 추모제에서는 빨치산들이 당시 불렀던 노래들을 선창하며 가르치기도 했다.

권낙기 통일광장 대표는 “추석을 앞두고 연락을 취하다 어제서야 8월 2일 돌아가신 것이 확인됐다”며 “고려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장례를 치렀지만 코로나가 극성을 부리는 시기라 가족들이 외부에 연락하지 않고 납골당에 모셨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권낙기 대표는 “빨치산 활동 당시 상당한 책임이 있는 직위를 맡아 치열하게 싸운 것으로 안다”며 “출소 이후 남에게 신세지지 않고 스스로 직장생활을 했고 결혼해 자녀들도 잘 키웠다”고 전하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2차 송환을 신청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한 “범민련남측본부 고문으로 활동하셨고, 빨치산 관련 자료들도 많이 모으고 시와 글도 많이 쓰셨다. 그만큼 부지런한 삶을 사셨다”며 “송환 문제 만은 남북관계를 떠나 하루빨리 해결해줘 개인의 슬픔을 풀어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촉구했다.

 

김교영 선생 약력

김교영 선생. 
1927.11.11 함남 영흥군 포하리 81번지에서 5남매 중 장남으로 출생
(1977.3 금야군으로 개칭/금야군 신당리)
1943.4 함남 북청공립직업학교 건축과편입
1944.10 함남 영흥군 인흥면 용흥사립학교 교사
1946.2.17 민주청년동맹 가입, 6.20 조선노동당 입당
1948.3~12 인흥면 민청위원장, 영흥군 민청책임지도원,
영흥군 횡천면 민청위원장
1949.2~1950.6 영흥군 민청선전부장, 민청부위원장
1950.8 중앙민청에 소환, 경남지구 파견(하동군)
1950.9.28 지리산 입산(하동군 청암면 묵계리)
1950.12 경남도 민청 정치문화교양부장
1951.1~9 황매산 블럭책임자로 파견, 무장정치공작대 대장, 구국연대 연대장겸직
경남도당 직속)
1952.2~10 경남도당 선동과장, 선전부부장, 경남도민청 위원장겸직, 조선인민유격대
독립제8지대 선전부장, 손관일부대 조직부장(경남)
1953.3~12 박문학부대 정치위원(경남), 경남도당 북부지구당 선전부장, 국군5사단
동계토벌공세시기 지리산지구 활동
1954.1 국군5사단수색대에 체포, 남원포로수용소 수감
1954.4 남원지구 고등군법회의(구형15년 확정10년) 전주형무소 수감
1957.10 수원형무소 이감
1961.8.15 가석방으로 출소
1961.10 충남금산군 남이면 석동리로 이사(숯구이, 개간품팔이로 생계유지)
1963.3 머슴살이 등 전전 중에 서울상경, 건설노무자 생활
1967~1985 건설기술자로 종사(현대, 대성, 대농건설,,,)
1985.8~ 정년퇴직, 통일광장 활동
2021.8.2. 숙환으로 자택에서 별세

(자료제공 - 통일광장)

출처 : 통일뉴스(http://www.tongilnews.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3 종교·시민사회, 비전향장기수 2차 송환 등 인도주의 문제해결 촉구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01 159
242 비전향장기수 송환20주년 기념행사위원회, 투병중14명 조속한 2차송환 촉구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19 158
241 조국통일촉진대회 준비위, ‘한미군사연습 중단 촉구 공동행동’ 9일차 진행 양심수후원회 2021.09.01 158
240 국가보안법 제정 73년, '고통이고 수치'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2.02 158
239 11년 만에 다시 열린 민족공동행사 (1)-2019년 새해맞이 연대모임에 다녀와서- 양심수후원회 2019.06.01 158
238 6.15공동선언 발표 20돌을 맞아 26차 반미월례집회 열어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6.19 156
237 숨죽여 지내온 세월…'비전향 장기수' 19인의 초상 anonymous 2018.10.11 156
236 전국민중행동, 용산서 ‘2022 자주평화대회’ 개최 file 양심수후원회 2022.11.29 155
235 전주에서 비전향장기수 오기태 선생 추모식 열려 양심수후원회 2020.12.10 155
234 ‘민주노총 지지 재미협의회’ 결성.. 초대 회장에 한호석 박사 file 양심수후원회 2022.02.04 154
233 “한미당국, 적대행위와 합동군사연습부터 중단해야”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1.11 154
232 각계 시민사회종교단체 “공안탄압 중단! 국가보안법 폐지!” 강력 요구 file 양심수후원회 2022.12.20 153
231 조국통일촉진대회 준비위, 11월 반미연합대회 추진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0.09 153
» 빨치산 출신 2차송환 희망 김교영 선생 별셰 양심수후원회 2021.09.20 153
229 8월 조국통일촉진대회 성사! 반미공동투쟁기구 건설! 양심수후원회 2021.04.26 152
228 분단체제에 맞서 물러섬이 없었던 삶, 양원진 선생 양심수후원회 2021.06.10 152
227 미주양심수후원회의 충북간첩단 조작 사건 규탄과 석방촉구 시위 file 양심수후원회 2021.08.11 152
226 서울에 들어온 지 이틀 만에 잡히고 20년 징역살이를 한 이 사람의 이야기 양심수후원회 2021.08.08 152
225 일본 역사왜곡‧경제침략 반대 거족적 행동 적극 펼치자 8.15민족통일대회‧평화손잡기, 남북해외 공동호소문 발표 file 양심수후원회 2019.08.21 152
224 "감옥에서 벌써 8년째... 이석기를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02 151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4 Next
/ 34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