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군주둔의 명분이 된 한국전쟁과 분단,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2023 전국 미군기지 자주평화 원정단 3일차 : 소성리, 칠곡 왜관 캠프 캐럴

 

강미경 통신원 (전국 미군기지 자주평화 원정단원)

 

자주평화 원정단 세 번째 날이 밝았다. 4월 5일, 전국 미군기지 자주평화 원정단은 사드기지가 있는 소성리 마을에 도착했다.

7년째 사드 기지를 뽑아내기 위해 투쟁하고 있는 소성리 마을에 평화의 구호가 적힌 현수막을 거는 활동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비를 맞으며 7년 간 투쟁의 흔적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오래된 현수막들을 철거하고, 새로운 현수막을 걸며 사드기지를 철수하기 위한 투쟁을 다시 다짐했다.
 

207701_94260_4549.jpeg

▲ 소성리에서 현수막 교체작업을 하는 자주평화 원정단. [사진-통일뉴스 강미경 통신원]

 


오후에는 칠곡 왜관의 캠프 캐럴을 향해 이동했다. 왜관에서 원정단을 맞이해준 평통사 김찬수 회원의 해설을 따라 왜관의 역사 유적지 곳곳과 캠프 캐럴 기지까지 답사를 진행했다.

캠프 캐럴로 가는 길에 들른 곳은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전투가 치러졌던 왜관 철교 앞이었다. 인민군과 국군, 미군이 치열하게 전투를 벌였던 그곳에 남은 것은 2만4천명이 넘는 우리 민중들의 희생이었다.

미군은 피난민들을 소개도 하지 않고 인민군의 남하를 막는다며 철교를 폭파했다. 원정단은 다시는 이런 전쟁이 나기를 바라지 않는다는 절박한 마음으로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간단한 제를 지내며 넋을 기렸다.
 

▲ 왜관철교의 모습. 지금은 복원되어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하다. [사진-통일뉴스 강미경 통신원]
▲ 왜관철교의 모습. 지금은 복원되어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하다. [사진-통일뉴스 강미경 통신원]

 

▲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민중들을 생각하며 간단한 제를 올렸다. [사진-통일뉴스 강미경 통신원]
▲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민중들을 생각하며 간단한 제를 올렸다. [사진-통일뉴스 강미경 통신원]

 


너무나 아이러니하게도, 그곳은 전쟁을 ‘기념’하며 전투에 승리한 것들을 ‘호국’이란 이름하에 곳곳을 공원, 기념관으로 조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맞은편에 있는 미군기지.

전쟁의 아픔이 있는 곳에, 또다시 전쟁을 불러오는 미군기지가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 더욱 대비되어 아픔과 분노가 일었다.

그 역사의 아픔을 가슴에 담고 캠프 캐럴을 마주했다. 캠프 캐럴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곳에 올라 기지 안을 쭉 보았다. 평택과 군산에서 보았던 미국식 주택가가 조성되어 있었고, 물자를 수송하는 기지답게 많은 창고들과 트럭들이 즐비했다.
 

▲ 왜관역에서는 캠프 캐럴 내부를 조망할 수 있다. [사진-통일뉴스 강미경 통신원]
▲ 왜관역에서는 캠프 캐럴 내부를 조망할 수 있다. [사진-통일뉴스 강미경 통신원]

 


캠프 캐럴은 전국의 미군기지에 물자를 보급하는 역할을 가진 미군기지다. 부산으로 들어오는 수많은 차량과 피복, 유류와 전반 군수물자들은 전부 이곳 캠프 캐럴에 저장되었다가, 이곳 철도를 통해 전국 곳곳에 미군기지로 수송이 된다.

물자 수송을 위해서 매일 한국의 철도공사와 협력하여 철도 이동을 촉진하고 있다. 그래서 캠프 캐럴 바로 옆 왜관역은 바로 이런 물자를 수송하는 철도역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었다.

가만 보면 평택도, 군산도, 이곳 왜관도 주요한 미군기지들에는 꼭 이 철도가 연결이 되어있었고, 그것은 우리의 국가의 근간인 이런 기반시설, 공공시설이 미군을 위해 건설되고 쓰이고 있다는 걸을 눈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 원정단이 서 있는 곳은 왜관역 철로가 캠프 캐럴로 들어가는 곳이다. [사진-통일뉴스 강미경 통신원]
▲ 원정단이 서 있는 곳은 왜관역 철로가 캠프 캐럴로 들어가는 곳이다. [사진-통일뉴스 강미경 통신원]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난다고 했을 때, 후방에서 전쟁 수행을 위해 필요한 수많은 물자들을 보급하는 핵심 기지, 캠프 캐럴. 전쟁에는 전략과 무기가 가장 중요하겠지만, 이를 보장하기 위한 물리적 담보가 없다면 전쟁을 승리하기는 어렵다. 그 물자를 보장하는 이 캠프 캐럴은 어찌 보면 미국이 구체적으로 전쟁을 준비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기지이다.

전 세계 군사패권을 자신의 본토가 아니라 남의 땅에서, 그것도 그 나라의 민중의 주권을 빼앗고, 땅을 빼앗고, 삶을 빼앗고, 목숨도 아무렇지 않게 학살하면서 이 땅을 점령하고 있는 미군. 해방 이후 미군정이 이 땅에 들어오고 나서부터, 아니 그 이전에 일본이 빼앗은 그 땅을 미군이 그대로 다시 빼앗아 더 넓히고 확장하며 점점 더 기지를 확장하고 있다.

더 많은 무기와 군수물자들이 들어오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와 인도-태평양 전체를 자신의 군사 패권 아래 두기 위해 한미일 군사동맹을 강요하고, 우리 땅을 불법적으로 강점하고 있는 미군기지가 나가는 것만이 이 땅에 전쟁을 막고, 평화를 가져오고 우리 민중의 주권을 다시 찾아오는 길이라는 것을 이곳 소성리와 왜관 캠프캐럴을 보며 느꼈다.

이 땅은 미국의 전쟁기지가 아니다!

 

출처 : 통일뉴스(http://www.tongilnews.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3 "이명박 독재정권 저항, 강력 전개할 것" 양심수후원회 2009.07.28 4241
582 한미연합 전쟁연습 중단! 한반도 평화 실현! 릴레이 공동행동 anonymous 2012.02.27 4236
581 양심수 집단소송 관련 모금에 함께해주시기 바랍니다. file anonymous 2012.09.27 4218
580 '범 민주진영', '6.10'계기로 대거 결집 양심수후원회 2009.06.05 4214
579 경찰, ‘공안사범’ 검거 '100일 수사' 진행 중 양심수후원회 2009.06.26 4202
578 소수영회원에 대한 과잉수사 중단 촉구 기자회견 anonymous 2013.06.11 4186
577 현대판 ‘주홍글씨’ 이석기․김재연을 위한 변론 anonymous 2012.07.17 4183
576 겉과 속 다른 '공안당국'의 '공안' 딱지 떼기 양심수후원회 2009.07.02 4179
575 "이것이 MB식 예우인가" 양심수후원회 2009.06.02 4160
574 "용산참사 해결, 더 이상 미루지 마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09.09.16 4146
573 4․27 민심 외면하는 동족 대결정책 anonymous 2011.05.12 4125
572 양화(세계인권선언)로 악화(국가보안법)를 구축하자 anonymous 2012.12.18 4104
571 [대담] 권오헌 명예회장의 절필선언을 듣고 anonymous 2012.06.23 4042
570 전쟁위기의 악순환, 부당한 대북제재 남발 anonymous 2013.02.21 4023
569 [성명] 통일운동단체 성원들에 대한 연이은 공안탄압을 규탄한다 anonymous 2012.07.05 4010
568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 의견서 anonymous 2011.05.11 3992
567 ‘광명성 3호’에 대한 이중잣대는 해적논리 anonymous 2012.04.06 3931
566 [성명] 소위 왕재산 사건에 관한 검찰의 무기징역 등 중형구형을 규탄한다(국가보안법 긴급대응모임)| anonymous 2012.01.27 3923
565 [모금] 분노어린 양심수들의 집단소송을 후원해주세요! file anonymous 2012.07.12 3890
564 양심수가 갇혀있는 공정사회란 없다 양심수후원회 2011.02.17 386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 Next
/ 34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