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창원간첩단 사건’, 편파적 비공개 재판” 비난

변호인단, ‘국정원직원법 비공개 증언, 위헌법률심판제청’ 신청

 

  • 김래곤 통신원 
  •  
  •  입력 2023.09.05 17:44

31424754ee9602b9edd3c48b44b0a668.jpg경남 창원소재 법무법인 믿음의 안한진 변호사에 이어 장철순 변호사가 이날 재판과정에 대한 소식을 전했다. [사진-통일뉴스 김래곤 통신원]

 


‘창원간첩단 사건’ 두 번째 재판이 4일 오후 2시10분 서울중앙지방법원(형사합의 30부, 강두례 부장판사)에서 열린 가운데, 검찰측 증인인 사건 책임자 국정원 직원의 심문이 변호인단의 이의신청에도 불구하고 재판부의 ‘비공개 재판’ 결정으로 열려 방청인들의 비난을 받았다.

변호인단은 이러한 재판은 파행적이고 민주주의 사법질서를 위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없어져야 한다고 하면서 비공개 증인 신문의 근거가 되는 국가정보원직원법 제17조 조항에 대한 위헌법률심판제청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재판부는 방청인들의 퇴장명령과 더불어 2중적으로 차폐막까지 설치하고 피고인들은 그 뒤에서 검찰측에 가까운 자리에 있었다고 폭로하면서 박근혜 때에도 이렇게 까지는 하지 않았었다고 성토하였다.

증인심문에 대해서도 그 증거를 수집한 사람이 원본을 가지고 와서 증거능력이 있는지 검증해야 하는데 증거조사(제291조의2 제1항)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그런데 사후에 보고받은 책임자가 증인으로 나와서 증거능력이 확인되지 않은 증거들을 유죄라고 하면서 종북몰이를 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검사가 보고받아서 그 증거가 유죄라고 재판하면 될 것이 아닌가”라며 강력하게 항변하였다고 전했다.

또한 검찰이 공판조서작성과 등사도 변호인에게 전달이 안 된, 새로운 증거들을 내밀며 증인심문을 하는데 대해서도 심문사항을 제지해야한다고 강하게 이의제기를 하였지만, 재판부는 계속 기각을 하면서 검찰측 주장을 들었다고 지적하였다.

재판은 국정원 직원 1명에 대한 검찰측 주심문 150여개의 질문이 있었지만, 변호인단이 준비한 1,500여개의 반대심문은 하지 못하고 다음으로 미뤄지며 끝났다.

이러한 재판은 편파적이고 절차도 위반하고 파행적으로 흐르고 있기 때문에 재판부 기피신청 뜻을 강력하게 내비치기도 하였다.

bce7ee9feba6ef114abbc7c73f94c407.jpg장경욱 변호사가 재판이 끝난 후 법원 앞에서 오늘 재판의 문제점과 다음 재판준비 등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김래곤 통신원]

 


한편, 같은 날 진행된 소위 '민주노총 간첩사건' 검찰측 증인 국정원 직원 심문은 차폐막이 설치된 상태에서 방청은 허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4.27시대 연구원 이정훈 연구위원에 대한 재판은 차폐막이 없이 방청되고 있다.

이에 앞서 피고인 4명에 대한 보석신청이 있었다. 하지만 검찰측이 피의사실을 재차 공표하면서 보석석방이 될 경우 주거지 제한이나 통신금지가 아니라 전자발찌를 차야 한다는등 굉장히 굴욕적 모욕을 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면서 피고인 모두가 그런 식의 석방은 거부한다고 발언하였다.

이날 재판은 4시간이 넘는 동안 진행되었고, 방청인들은 재판부의 퇴장명령이후 복도에서 대기하면서 한때, 재판정안에서 터져 나오는 변호인단의 큰 항변소리에 귀기울이기도 하였다.

다음 재판은 9월 11일 오후 2시10분 서울중앙지방법원 서관 412호실이다.

d4be7a63704ba1f66dfb0b2a1e72e7af.jpg‘창원간첩단 사건’ 두 번째 재판 참가자(방청)들이 재판이 끝난 후 법원 앞에서 기념사진을 남겼다. [사진-통일뉴스 김래곤 통신원]


출처 : 통일뉴스(http://www.tongilnews.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3 '새로운 한일관계에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은 없다" 아베규탄시민행동, '지소미아 재연장 우려'...10월 26일 9차 촛불문화제 개최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23 134
622 '쌍무기수' 88세 박종린 "이제는 저를 북녘땅으로 보내주세요"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13 177
621 '아람회 사건', 28년만에 무죄 판결 양심수후원회 2009.05.21 5578
620 '우리들의 다짐은 공고히, 선생님들의 뜻은 영원히'낙성대 ‘만남의집’ 거주 통일애국열사 합동추모제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04 240
619 '창원간첩단 사건' 첫 재판, “검찰 공소사실 전면부인, 기획·조작극” 규탄! file 양심수후원회 2023.08.31 54
618 '친일독재 미화 저지' 역사정의실천연대 발족 file anonymous 2011.11.14 5469
617 '통일애국지사 고 김남식 선생 15주기 추모식' 거행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10 257
616 '평양시민 김련희씨는 '조선' 공민이다' 양심수후원회 2021.01.20 199
615 (사)양심수후원회 제32차 정기총회 열려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5.19 225
614 (사)양심수후원회와 옴시롱감시롱 함께하는 역사기행 ‘독립운동의 산실, 안동을 가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01 234
613 (사)양심수후원회의 새로운 CI(로고·상징)를 소개합니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24 247
612 0820-615산악회 10주년, 381m 용봉산에 오르다! file anonymous 2017.08.24 509
611 0821-한미전쟁연습 당장 중단하라! file anonymous 2017.08.24 400
610 10.4선언 3돌 맞는 평화와 통일로의 민족적 과제 양심수후원회 2010.10.05 4241
609 100개 단체, ‘국보법 폐지 국민행동’ 출범식 양심수후원회 2021.03.04 228
608 1070회 민가협 목요집회 file anonymous 2016.04.08 1230
607 10년째 북한으로 보내 달라는 여성, 정부는 왜 그를 붙잡아두는가 [다큐로 보는 세상] 양심수후원회 2021.11.02 140
606 10만 명 참여한 ‘이석기 전 의원 사면복권’ 탄원서, 청와대에 전달 file 양심수후원회 2022.04.18 159
605 1100회 민가협 목요집회-통일뉴스 펌 anonymous 2016.12.09 665
604 1194차 민가협 목요집회, 보안법 폐지.피해자 석방 촉구 anonymous 2018.11.05 1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 Next
/ 34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