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변숙현 선생님은 제겐 빨치산 여전사가 아니라 따뜻한 할머니셨다”

여성 빨치산 변숙현 선생 추도식 열려

 

  • 이계환 기자 
  •  
  •  입력 2023.09.23 05:08

209028_97690_5949.jpg

여성 빨치산 변숙현 선생을 기리는 추도식이 22일 오후 6시 성남중앙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렸다. [사진-통일뉴스 이계환 기자]

 


“변숙현 선생님은 제겐 빨치산 여전사가 아니라 따뜻한 할머니셨다.”

백수를 누리고 소천한 여성 빨치산 변숙현 선생을 기리는 추도식이 22일 오후 6시 성남중앙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렸다.

서향수 성남여성회 회장은 추도사에서 변숙현 선생을 처음 만났을 때의 심정을 이같이 밝히고는, 생전에 고인에게 들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전했다. 한마디로 고인의 운명을 결정지은 슬프고도 기구한 에피소드였다.

서 회장은 “선생님이 오래전 활동하실 때 남편을 통 못 봐서 보고 싶기도 하고 해서, 조직생활 하는 사람이 그러면 안 되는데 하루 종일 강가 바위 위에 앉아있다가 돌아왔는데, 사람들이 어디 갔다 왔냐며 남편이 다녀갔다고, 진주로 내려가는 길에 일행들과 함께 왔었다고 말을 했다”면서 “운명의 장난이란 말이 있는데 그 말이 사실이라고 하셨다”고 기억했다.

계속해서 서 회장은 “그 길로 선생님이 100리가 넘는 길을 걸어서 진주로 찾아갔는데 진주에서 ‘남진’이란 글자만 써 있는 걸 보고 돌아왔다”고는 “선생님은 그 후로 남편을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고 하셨다”며 안타까움을 소개했다.

고인은 장기수이기에 통일광장에서, 여성이기에 전국여성연대에서 그리고 거주지가 성남지역이기에 성남여성회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음을 증명이라도 하듯 이날 추모식에는 여성들, 특히 성남지역 여성들이 많이 참석했다.

자연히 ‘말잔치’를 이룬 추도식에서도 여성 인사들의 추도사가 주를 이뤘다.

추도사를 하고 있는 임방규 통일광장 전 대표. [사진-통일뉴스 이계환 기자]
추도사를 하고 있는 임방규 통일광장 전 대표. [사진-통일뉴스 이계환 기자]

 


이날 추도사는 임방규 통일광장 전 대표를 시작으로 윤희숙 진보당 대표, 한미경 전국여성연대 상임대표, 김미희 전 의원, 서향수 성남여성회 회장, 손미희 전 전국여성연대 상임대표, 최은아 6.15남측위원회 사무처장, 김지영 해솔내과 원장, 조순덕 민가협 회장 순으로 이어졌다.

구순을 넘긴 임방규 전 대표는 백수를 누린 고인이 들으라는 듯 “저희들이 나이를 먹을 만큼 먹었기에 이제 만나면 죽음에 대해 이야기를 더러 한다”면서, 한 동지가 “우리 잘 살았어?”하고 물으면 다른 동지가 “참 잘 살았고 말고”라고 답한다면서 “외부 사람들은 우리 대화를 이해 못할 거야”라고 빨치산과 장기수로서의 삶의 편린을 내보였다.

윤희숙 진보당 대표는 “선생님은 늘 후배에게 더 좋은 나라, 자주국가를 물려주지 못해서 미안하다고 말해왔다”면서 “그럴수록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마음을 먹는다”고 결의를 밝혔다.

한미경 전국여성연대 상임대표는 “선생님께 배울 게 더 많은데 이제 뵐 수 없게 된 것이 너무 가슴 아프다”고는 “백 살의 연세임에도 선생님을 보내는 것이 너무 아쉽다”고 진한 아쉬움을 표했다.

김미희 전 의원은 “선생님은 통일운동만이 아니라 여성운동에도 관심이 많았다”고는 “성남에서 활동한 선생님 덕분에 성남에는 여성운동이 많이 활성화돼 있다”고 고인의 활동을 기렸다.

손미희 전 전국여성연대 상임대표는 “선생님과 지리산과 회문산에 간 적이 있다”면서 “선생님은 나이가 드셔서 평지도 잘 못 걷는 편인데 희한하게 산에 갈 때 선생님의 모습이 가장 편안하고 잘 걸으셨다”며 놀라워했다.

최은아 6.15남측위원회 사무처장은 “2000년에 사회활동을 처음 할 때 선생님을 뵈었다. 그때 변숙현 선생님과 함께 지금은 작고하신 박정숙, 김선분 선생님과도 함께 만났다”면서 “세 분 모두 자그마한 체구에서 그렇게 열심히 투쟁할 수 있는 근원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늘 궁금해 했다”며 오랜 긍금증을 전했다.

김지영 해솔내과 원장은 “그전에 가락시장 근처에 살 때 전철에서 선생님을 자주 만났다”면서 “나는 퇴근을 하고 귀가하는 길이었는데 선생님은 늘 시내에서 시위를 하고 성남 댁으로 들어가시는 길이었다”고 회고하고는 “선생님은 자그마한 체구이지만 담백하고 단단하고 그리고 순수하셨다”고 기렸다.

조순덕 민가협 회장은 “선생님은 민가협 어머니들에게 많은 추억을 남겨 주셨다”고는 “전철표를 종이딱지로 사용하던 때 선생님이 전철표를 어디서 구해왔는지 잔뜩 들고서 목요집회에 오셔서는 집회 참가자들에게 종이 전철표를 일일이 나눠주셨다”고 따뜻한 일화를 전했다.

계속해서 전남병 ‘고난함께’ 목사, 조원호 통일의길 대표, 이태형 범민련남측본부 의장, 한충목 한국진보연대 상임대표의 추도사가 이어졌다.

고인의 삶과 활동을 엮은 동영상. [사진-통일뉴스 이계환 기자]
고인의 삶과 활동을 엮은 동영상. [사진-통일뉴스 이계환 기자]

 


긴 추도사 행렬 중간중간에 가수 이수진 씨의 ‘심장에 남는 사람’ 등의 노래와 양은미 씨의 오카리노 연주가 이어졌으며 그리고 고인의 삶과 활동을 엮은 동영상과 사진이 상영되었다.

끝으로 고인의 손자가 나서 가족인사를 대신했다. 손자는 “할머니는 우리를 사랑과 인자함으로 키우셨다. 그리고 할머니는 통일을 위해 사셨다”고는 “우리도 통일이 이뤄지길 바란다. 그 길에 우리 가족들도 함께 하겠다”며 고인의 뜻을 따르겠다고 짧고 굵게 밝혔다.

권낙기 통일광장 대표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추도식은 추도사를 한 인사들 외에도 조영건 통일원로, 장남수 유가협 회장 등을 비롯해 80여명의 추모객들이 참여했다.

권낙기 통일광장 대표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추도식은 추도사를 한 인사들 외에도 조영건 통일원로, 장남수 유가협 회장 등을 비롯해 80여명의 추모객들이 참여했다. [사진-통일뉴스 이계환 기자]
권낙기 통일광장 대표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추도식은 추도사를 한 인사들 외에도 조영건 통일원로, 장남수 유가협 회장 등을 비롯해 80여명의 추모객들이 참여했다. [사진-통일뉴스 이계환 기자]

 


한편, 1924년 전남 장성군에서 출생한 고인은 1945년 남로당 전북 장수군당위원장을 역임한 박태원과 결혼했고, 해방공간에서 여맹 활동을 벌이다 1950년 빨치산으로 입산, 1952년 군경토벌대에 생포됐다.

남원 포로수용소와 광주 포로수용소를 거쳐 징역 20년형 선고받고 옥중 생활 중, 1960년 재심 판결을 받아 출소했다.

1990년부터 통일광장과 전국여성연대, 성남여성회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지난 20일 소천했다.

 

 

출처 : 통일뉴스(http://www.tongilnews.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3 "열사의 죽음은 이 시대 노동자.민중의 죽음" 양심수후원회 2009.05.17 4671
602 "우리가 80년 광주 시민 되어 독재타도 외치자" 양심수후원회 2009.05.17 4621
601 용산참사 해결촉구 1인시위를 가로막는 경찰의 행태 file 양심수후원회 2009.09.11 4609
600 "범민련 탄압, 모두가 맞서서 싸워야" 대학로서 '범민련 공대위' 첫 집회, 각계 진보진영 '결집' 호소 양심수후원회 2009.05.24 4601
599 前 서총련 의장, 보안법 위반 혐의 체포 돼 양심수후원회 2009.06.26 4596
598 [성명] 위험한 모의, 자주통일투쟁으로 분쇄하자 범민련 2009.06.19 4590
597 언론노조 최상재, 경찰에 체포... "6학년 딸 보는데 수갑 채워" 양심수후원회 2009.07.28 4572
596 인권모자를 쓴 반북대결책동 양심수후원회 2009.12.20 4568
595 경찰, 또 기자회견 '묻지마 연행' '용산참사' 수사기록 공개 촉구하는 7명 연행..변호사도 포함돼 양심수후원회 2009.05.14 4510
594 밝혀진 '진실', 전여옥 "이전 증언내용 거짓" 양심수후원회 2009.05.11 4490
593 시민사회, 구속적부심 앞둔 범민련 간부들 석방 촉구 양심수후원회 2009.06.05 4489
592 민족대재앙 불러올 흡수통일 망상 양심수후원회 2010.12.17 4456
591 [자주민보] 양심수후원회 24차 정기총회 anonymous 2012.04.23 4444
590 "범민련 수사로만 끝나지 않을 것" 80여 단체 '공대위' 발족..'北 지령 수수' 조작사건 조짐 우려 양심수후원회 2009.05.12 4358
589 "아! 기자회견 한 번 하기 힘드네..." 양심수후원회 2009.05.20 4330
588 경찰, 전교조 본부 압수수색 양심수후원회 2009.07.03 4306
587 야4당+시민사회, 국회 앞 1박2일 농성 돌입 양심수후원회 2009.06.29 4267
586 민가협, 자주 민주 통일 향해 앞으로 anonymous 2012.03.26 4266
585 이명박 정부의 반인권집행자 현병철 위원장은 당장 물러나야 양심수후원회 2010.11.15 4243
584 10.4선언 3돌 맞는 평화와 통일로의 민족적 과제 양심수후원회 2010.10.05 42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 Next
/ 34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