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5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람회 사건', 28년만에 무죄 판결
"친목회를 반국가단체로 조작... 선배 법관 대신해 사과"
2009년 05월 21일 (목) 12:14:36 박현범 기자 cooldog893@tongilnews.com
   
▲ 21일 오전 서울고등법원 기자실 앞에서 '아람회 사건' 피해자들은 무죄판결 직후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전두환 신군부의 대표적 용공조작 사건으로 꼽히는 '아람회 사건' 피해자들이 28년만에 억울한 누명을 벗었다.

서울고등법원 형사3부(재판장 이성호 부장판사)는 21일 '아람회 사건' 재심판결에서 1981년 계엄법 위반 혐의 등으로 기소돼 중형을 선고받고 징역을 살았던 박해전(54) 씨 등 6명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전두환 신군부 세력이 1979년말부터 정권의 안정을 기할 목적으로 공포분위기를 조성하는 등 헌정질서를 파괴했다"며 "'아람회 사건'은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던 피고인들에게 고문, 폭행, 협박 등 불법적 수단을 사용해 친목회를 반국가단체로 조작하고, 구성원들을 좌익용공세력으로 둔갑시킨 것"이라고 밝혔다.

재판부는 피고인들이 고문과 협박 등 당시 수사기관의 불법적 수단에 의해 허위자백 했다고 인정하고, 영장 없이 취득한 압수물들은 증거로 인정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신군부의 헌정질서 파괴행위에 맞서 헌법과 민주주의를 수호하려던 피고인들에게 유죄 판결한 원심을 파기한다"며, 계엄.반공.국가보안법 위반에 대해서 무죄를,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위반에 대해선 면소 판결했다.

   
▲'아람회 사건'으로 중형을 선고받았던 박해전(54) 씨.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특히 "당시 재판부는 혹독한 고문에 허위자백을 했다는 피고인들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사법부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면서 "오늘의 법관들은 오욕의 역사를 되새기며 선배 법관들을 대신해 억울하게 고초를 당하고 힘든 여생을 살아온 피고인들에게 심심한 사과와 위로의 뜻을 밝힌다"고 재판부의 입장을 밝혔다.

박해전 씨를 비롯한 피해자들은 판결 직후 기자회견을 열어 "우리는 5공의 반인권적 국가범죄를 단죄하고 피해자들의 인권을 살리는 정의의 심판을 한 재심 재판부에 다시 한 번 감사 드린다"며 "우리 사회가 반인권적 과거사를 청산하고 인권이 보장되는 국민주권시대로 전진하도록 국민과 함께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5공의 반인권 국가범죄에 대한 사과 및 피해자 원상회복 △반인권적 국가범죄에 대한 공소시효배제 특별법 제정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활동시한 연장 △광주 전남도청 별관 원형보존 △국가보안법 폐지 및 6.15, 10.4선언 이행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고문 후유증으로 1998년 사망한 이재권의 부인 박천희 씨는 기자회견에서 고인이 떠오르는 듯 끝내 눈물을 흘렸다. 

'아람회 사건'은 충남 금산중학교 동창생들인 박씨 등이 1981년 5월17일 전직 군 장교인 김난수의 딸 아람의 백일잔치에서 반국가 단체 '아람회'(수사기관이 정한 명칭)를 결성해 북한을 찬양.고무한 혐의로 기소된 것으로 징역 1년 6개월-10년 등 중형을 선고 박고 1988년 특별사면됐다.

그러다 지난 2006년 서울고법 형사 1부(부장 이인재)가 재심개시를 결정했고, '진실화해위원회'는 2007년 "국가는 경찰 수사과정에서의 불법감금 및 가혹행위, 임의성 없는 자백에 의존한 기소 및 유죄판결 등에 대해 피해자들과 그 유가족에게 총체적으로 사과하고 화해를 이루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아람회 사건 고문 후유증으로 인해 1998년 사망한 고 이재권씨의 부인 박천희씨가 기자회견 도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박현범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3 '새로운 한일관계에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은 없다" 아베규탄시민행동, '지소미아 재연장 우려'...10월 26일 9차 촛불문화제 개최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23 134
622 '쌍무기수' 88세 박종린 "이제는 저를 북녘땅으로 보내주세요"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13 177
» '아람회 사건', 28년만에 무죄 판결 양심수후원회 2009.05.21 5578
620 '우리들의 다짐은 공고히, 선생님들의 뜻은 영원히'낙성대 ‘만남의집’ 거주 통일애국열사 합동추모제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04 240
619 '창원간첩단 사건' 첫 재판, “검찰 공소사실 전면부인, 기획·조작극” 규탄! file 양심수후원회 2023.08.31 54
618 '친일독재 미화 저지' 역사정의실천연대 발족 file anonymous 2011.11.14 5469
617 '통일애국지사 고 김남식 선생 15주기 추모식' 거행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10 257
616 '평양시민 김련희씨는 '조선' 공민이다' 양심수후원회 2021.01.20 199
615 (사)양심수후원회 제32차 정기총회 열려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5.19 225
614 (사)양심수후원회와 옴시롱감시롱 함께하는 역사기행 ‘독립운동의 산실, 안동을 가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01 234
613 (사)양심수후원회의 새로운 CI(로고·상징)를 소개합니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24 247
612 0820-615산악회 10주년, 381m 용봉산에 오르다! file anonymous 2017.08.24 509
611 0821-한미전쟁연습 당장 중단하라! file anonymous 2017.08.24 400
610 10.4선언 3돌 맞는 평화와 통일로의 민족적 과제 양심수후원회 2010.10.05 4241
609 100개 단체, ‘국보법 폐지 국민행동’ 출범식 양심수후원회 2021.03.04 228
608 1070회 민가협 목요집회 file anonymous 2016.04.08 1230
607 10년째 북한으로 보내 달라는 여성, 정부는 왜 그를 붙잡아두는가 [다큐로 보는 세상] 양심수후원회 2021.11.02 140
606 10만 명 참여한 ‘이석기 전 의원 사면복권’ 탄원서, 청와대에 전달 file 양심수후원회 2022.04.18 159
605 1100회 민가협 목요집회-통일뉴스 펌 anonymous 2016.12.09 666
604 1194차 민가협 목요집회, 보안법 폐지.피해자 석방 촉구 anonymous 2018.11.05 1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 Next
/ 34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