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투병중 서옥렬씨, 남북정상회담 앞 ‘실낱 희망’
사회단체 “인도적 차원 장기수 19명 송환해야”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41871.html?_fr=mt2#csidx039c1b3874227608e0c6ec64f0aabc3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가 24일 오전 광주 북구 한 병원에서 송환을 바라는 심경을 이야기하고 있다.정대하 기자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가 24일 오전 광주 북구 한 병원에서 송환을 바라는 심경을

이야기하고 있다.정대하 기자


꿈에라도 한 번 보고 싶었다. 57년 전 마지막 봤던 아내의 얼굴이 지금도 눈 앞에 아른거린다. 1961년 8월 남으로 내려오면서 병원에 있던 아내를 만나지 않고 온 것이 두고 두고 후회가 된다. 평양 선교리 대동강을 막 건너면 보이던 아파트 5층 8호실이 그가 살던 집이었다.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24일 “이상하대…. 간절히 바라도 (아내가) 한 번도 꿈에 나타나질 않아”라고 말했다.

서씨는 최근 폐에 물이 차 올라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이날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의 한 병원에서 만난 서씨의 얼굴은 수척했고, 손과 발은 앙상했다. 밥을 잘 먹질 못해 약을 먹는 것조차 꺼린다. 날이 흐리면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여길 봐봐, 뼈가 정상이 아니야….젊었을 땐 몰랐는데, 나이가 드니까 증상이 와요.” 그의 마지막 소원은 죽기 전 아내와 두 아들을 만나는 것이다. 5살(56년생), 3살(58년생)이었던 두 아들을 생전에 볼 수 있을까?

최고령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요즘도 날이 흐르면 몸이 쑤시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서씨가 고문 당해 뼈가 으스러진 발 부분을 가르키고 있다.정대하 기자

최고령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요즘도 날이 흐르면 몸이 쑤시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서씨가 고문 당해 뼈가 으스러진 발 부분을 가르키고 있다.정대하 기자


서씨의 삶은 ‘분단의 아픔’ 그 자체다. 전남 신안 출신인 그는 고려대 경제학과 재학중이던 1950년 한국전쟁 때 인민군에 입대했다. 북에선 강원도 천내군 중학교에서 교원 생활을 하다가 ‘여성 교원’(30년생)을 만나 사랑했고 결혼했다. 1961년 공작원으로 남파돼 고향 집을 방문했다가 붙잡혔다. 국가보안법 위반죄로 기소돼 29년을 감옥에서 보냈다. “여보! 당신, 살아있는지 궁금하기 그지없구려…” 서씨는 1998년 아내에게 쓴 편지를 아직 부치지 못했다.

서씨는 요즘 실날같은 희망을 다시 키우고 있다. 27일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에 훈풍이 돌면 ‘송환’ 문제도 풀릴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서씨는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가족들을 한번 만나고 싶다. 하다 못해 인도적 측면에서 얼굴 볼 기회라도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씨를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씨는 “최근 기억도 깜빡깜빡하시는 상태인데, 며칠 전 ‘아직은 못 죽어’라고 하셔서 마음이 아팠다”고 말했다.

서씨처럼 북으로 돌아가길 원하는 이는 19명이다.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6·15공동선언에 따라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북으로 송환된 뒤 남은 2차 송환 요구자 33명 중 19명만 생존해 있는 상태다. 이들은 모두 80~90대의 고령으로, 1차 송환 대상에 포함됐어야 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아 신청을 못했거나 국가폭력으로 강제전향했다는 이유로 보수세력이 반발해 송환 시기를 놓친 이들이다.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양심수후원회·한국진보연대 등은 지난 18일 청와대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전향 장기수들은 분단과 냉전의 산물이다. 동포애와 인도주의 정신으로 조속히 19명을 송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옥렬씨의 사연을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오른쪽)씨가 24일 아침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씨를 찾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정대하 기자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옥렬씨의 사연을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오른쪽)씨가 24일 아침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씨를 찾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정대하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3 김광수 “공안 검증기관에 공개 토론회를 제안한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5.22 9
662 "열사의 염원이다. 윤석열은 퇴진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6.11 18
661 “미주 동포들은 김광수 박사 적극 옹호한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5.28 18
660 권오헌 선생님, 늦봄30주기 특별공로상 수상식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6.04 19
659 권오헌 선생 ‘늦봄 문익환 30주기 특별공로상’을 수상 소식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5.28 21
658 ‘소녀 빨치산’ 오영애, ‘소년 빨치산’ 남편 곁으로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6.12 22
657 “주한미군 주둔비 분담금 대폭 인상? 분담금 특별협정 폐기!” 촉구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5.22 23
656 "민주화운동 밀고자가 열사단체 압수수색이라니..."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6.14 24
655 "윤석열 퇴진! 모든 노동자의 노동권 보장하라" 양심수후원회 2024.05.13 24
654 2024 월례강좌 1강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5.28 25
653 “시집 ‘신념의 강자’는 민족해방전사들의 만인보”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4.23 30
652 “우리 아이들이 남의 나라에서 서러운 차별 받지 않도록”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6.06 38
651 민주노총 통선대, “한미일 군사동맹 해체” 강력 촉구 file 양심수후원회 2023.08.16 39
650 미주양심수후원회, 미국은 ‘인권’을 입에 담을 자격 없어 file 양심수후원회 2023.12.13 39
649 "반미·반제 자주를 기본으로, 전선운동 시급히 정비·강화해야"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5.02 41
648 대구 지역 통일운동가 한기명 선생 별세, 향년 96세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2.19 41
647 범민련 남측본부, 해산과 함께 '한국자주화운동연합'(가칭) 결성 결의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2.19 42
646 미군철수투쟁본부, 오장창 집행위원장 구속 규탄집회 열어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4.27 42
645 민주노총 통선대, ‘로드리게스 선제타격 훈련장 규탄 투쟁’ 전개 file 양심수후원회 2023.08.16 43
644 “언제나 통일애국선열들의 뜻을 따라서” file 양심수후원회 2024.03.23 4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 Next
/ 34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