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투병중 서옥렬씨, 남북정상회담 앞 ‘실낱 희망’
사회단체 “인도적 차원 장기수 19명 송환해야”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41871.html?_fr=mt2#csidx039c1b3874227608e0c6ec64f0aabc3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가 24일 오전 광주 북구 한 병원에서 송환을 바라는 심경을 이야기하고 있다.정대하 기자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가 24일 오전 광주 북구 한 병원에서 송환을 바라는 심경을

이야기하고 있다.정대하 기자


꿈에라도 한 번 보고 싶었다. 57년 전 마지막 봤던 아내의 얼굴이 지금도 눈 앞에 아른거린다. 1961년 8월 남으로 내려오면서 병원에 있던 아내를 만나지 않고 온 것이 두고 두고 후회가 된다. 평양 선교리 대동강을 막 건너면 보이던 아파트 5층 8호실이 그가 살던 집이었다.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24일 “이상하대…. 간절히 바라도 (아내가) 한 번도 꿈에 나타나질 않아”라고 말했다.

서씨는 최근 폐에 물이 차 올라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이날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의 한 병원에서 만난 서씨의 얼굴은 수척했고, 손과 발은 앙상했다. 밥을 잘 먹질 못해 약을 먹는 것조차 꺼린다. 날이 흐리면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여길 봐봐, 뼈가 정상이 아니야….젊었을 땐 몰랐는데, 나이가 드니까 증상이 와요.” 그의 마지막 소원은 죽기 전 아내와 두 아들을 만나는 것이다. 5살(56년생), 3살(58년생)이었던 두 아들을 생전에 볼 수 있을까?

최고령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요즘도 날이 흐르면 몸이 쑤시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서씨가 고문 당해 뼈가 으스러진 발 부분을 가르키고 있다.정대하 기자

최고령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요즘도 날이 흐르면 몸이 쑤시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서씨가 고문 당해 뼈가 으스러진 발 부분을 가르키고 있다.정대하 기자


서씨의 삶은 ‘분단의 아픔’ 그 자체다. 전남 신안 출신인 그는 고려대 경제학과 재학중이던 1950년 한국전쟁 때 인민군에 입대했다. 북에선 강원도 천내군 중학교에서 교원 생활을 하다가 ‘여성 교원’(30년생)을 만나 사랑했고 결혼했다. 1961년 공작원으로 남파돼 고향 집을 방문했다가 붙잡혔다. 국가보안법 위반죄로 기소돼 29년을 감옥에서 보냈다. “여보! 당신, 살아있는지 궁금하기 그지없구려…” 서씨는 1998년 아내에게 쓴 편지를 아직 부치지 못했다.

서씨는 요즘 실날같은 희망을 다시 키우고 있다. 27일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에 훈풍이 돌면 ‘송환’ 문제도 풀릴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서씨는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가족들을 한번 만나고 싶다. 하다 못해 인도적 측면에서 얼굴 볼 기회라도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씨를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씨는 “최근 기억도 깜빡깜빡하시는 상태인데, 며칠 전 ‘아직은 못 죽어’라고 하셔서 마음이 아팠다”고 말했다.

서씨처럼 북으로 돌아가길 원하는 이는 19명이다.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6·15공동선언에 따라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북으로 송환된 뒤 남은 2차 송환 요구자 33명 중 19명만 생존해 있는 상태다. 이들은 모두 80~90대의 고령으로, 1차 송환 대상에 포함됐어야 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아 신청을 못했거나 국가폭력으로 강제전향했다는 이유로 보수세력이 반발해 송환 시기를 놓친 이들이다.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양심수후원회·한국진보연대 등은 지난 18일 청와대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전향 장기수들은 분단과 냉전의 산물이다. 동포애와 인도주의 정신으로 조속히 19명을 송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옥렬씨의 사연을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오른쪽)씨가 24일 아침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씨를 찾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정대하 기자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옥렬씨의 사연을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오른쪽)씨가 24일 아침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씨를 찾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정대하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3 "北여종업원 송환 등 반드시 고위급회담 의제로 해야" anonymous 2018.05.30 596
662 "공안정국 조성을 위한 마구잡이 실적 쌓기" 양심수후원회 2009.06.29 3840
661 "김련희 씨를 가족 품으로 돌려보내라!", <통일뉴스> 김련희송환촉구준비모임, 통일부 앞 기자회견 개최 anonymous 2015.11.17 1869
660 "범민련 수사로만 끝나지 않을 것" 80여 단체 '공대위' 발족..'北 지령 수수' 조작사건 조짐 우려 양심수후원회 2009.05.12 4358
659 "범민련 탄압, 모두가 맞서서 싸워야" 대학로서 '범민련 공대위' 첫 집회, 각계 진보진영 '결집' 호소 양심수후원회 2009.05.24 4601
658 "아! 기자회견 한 번 하기 힘드네..." 양심수후원회 2009.05.20 4330
657 "양심수 석방 없는 '생계형 사면'은 국민기만" 양심수후원회 2009.07.31 5441
656 "열사의 죽음은 이 시대 노동자.민중의 죽음" 양심수후원회 2009.05.17 4671
655 "용산참사 해결, 더 이상 미루지 마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09.09.16 4146
654 "우리가 80년 광주 시민 되어 독재타도 외치자" 양심수후원회 2009.05.17 4621
653 "이것이 MB식 예우인가" 양심수후원회 2009.06.02 4161
652 "이명박 독재정권 저항, 강력 전개할 것" 양심수후원회 2009.07.28 4241
651 "활력있는 젊은 단체 만들고 싶다" [인터뷰] 민가협 양심수후원회 새 회장 김호현 관리자입니다 2009.05.04 6747
650 <속보> 김영식 선생, 만남의집 텃밭에서 호박 등 수확해... file 양심수후원회 2019.09.02 230
649 "7.23 한국 내 반미자주투쟁에 합세하자!" file 양심수후원회 2022.07.19 149
648 "감옥에서 벌써 8년째... 이석기를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02 152
647 "남은 11명 비전향장기수 송환은 6.15합의사항" 양심수후원회 2021.06.15 185
646 "남정현 문학은 우리 모두를 일깨우는 처절한 목소리" 『분지』 작가 남정현 선생 1주기 추모제 열려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2.20 120
645 "다시 평화와 협력의 불씨를 피워 올리자" 양심수후원회 2021.01.19 141
644 "민족을 위해 단결하자!" 범민련 남측본부, '범민련 결성 29돌 기념대회' 개최(전문)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1.25 2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 Next
/ 34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